UDP(User Datagram Protocol)은 트랜스포트 계층의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UDP는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컴퓨터의 프로세스끼리 연결시킨다. 이를 프로세스 간 통신이라 한다. 포트 번호는 2바이트 주소로, 트랜스포트 계층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또 포트 번호는 컴퓨터의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번호이기도 하다. 즉 이 번호가 UDP가 이용하는 주소이고, 프로세스를 지정함으로 UDP의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UDP포트 번호가 결정되면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도 결정, 한편 서버 측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또는 데몬이라 함) 포트 번호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번호를 미리 정해둘 필요가 있는데0 ~ 1023 번 포트에 대해서는 Well-Known 포트, ..
이제 ARP의 덤프 분석을 해보려 한다. Info 열에 'Who has.....'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패킷이 ARP 요청 프레임이고, '..........is at ...........' 으로 표시되어 있는 패킷이 ARP 응답 프레임이다. 이 2개의 패킷을 ARP 시퀀스라고 한다. 이제는 패킷 상세 영역에서 Ethernet 2를 클릭해서 내용을 보면 수신자 MAC 주소를 지정하는 'Destination' 필드를 확인하면 'Broadcast' 라고 되어 있다.아래의 그림은 ARP 요청 브로드캐스트이다. 수신자 AMC 주소를 지정하는 Destination 필드를 확인하면 Broadcast 라고 되어 있다. 또한 이때 패킷 데이터 영역에는 'ff:ff:ff:ff:ff:ff' 부분이 반전 표시 될 것이다. AR..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즉 주소 분해 프로토콜이라 한다. ARP의 통신 송수신은 IP 주소를 단서로 삼아 MAC주소를 물어보는 ARP요청 브로드캐스트와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물어본 곳으로 MAC 주소 및 IP 주소를 대답하는 ARP 응답 유니캐스트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ARP 패킷의 형식부터 알아보자. ARP 요청은 아래와 같은 통신순서로 이루어 진다. 1. 통신을 하고자 하는 상대의 IP 주소를 Target IP Address 로 설정하고 동시에 Target MAC Address를 비워둔 채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LAN 전체로 보낸다. 2. LAN 내의 모든 단말이 이 요청을 수신해서 내용을 확인한다. 3. 이때 해당 IP 주소를 지닌 PC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키보드 메시지 이벤트
- tipsr강좌
- 오일러 프로젝트 11번
- 팁스강좌
- 화투이미지맞추기
- 헤더
- MFC
- 비손실 압축
- 약수 500개
- 서버
- 오일러 프로젝트 10본
- tipsoft
- 패킷
- tipssoft
- 와이어샤크
- 허프만 알고리즘
- arp
- 오일러 프로젝트 14번
- Omok
- 오일러 프로젝트 16번
- 오일러 프로젝트 13
- 오일러
- 오일러 프로젝트 12번
- 오일러 프로젝트 8번
- Tips
- CBrush
- TIPS강좌
- 실행 압축
- 2의 1000승
- 이미지게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