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언어를 공부하다 보면 함수가 나오게 된다. C언어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C코드 프로그램의 시작점은 main()이다.
main () {
........프로그램 소스 코드..........
}
모든 코드가 main() 함수 안에 있으면 문제점들이 생긴다.
1. 모든 소스 코드를 집어 넣으면 내용이 점점 길고 복잡해지면서 다른 사람은 물론
자신도 소스 코드를 이해하기 힘들어지게 된다.
2. 같은 기능을 하는 코드가 반복적으로 필요시 매번 입력해줘야 한다.
3. 기존에 작성한 코드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면, 기존 코드에서 어렵게 그 부분을 찾아내야 한다.
main() 안에 아주 많은 코드가 들어 있을 테니, 그 중에 원하는 코드를 골라내야 하는 것이다.
4. 소스 코드가 늘어남에 따라 필요한 변수가 많아지고 관리가 점점 복잡해진다. 심지어 변수의 이름을 짓는 것조차 어려줘진다.
함수라는 기능을 사용한다면 위의 문제점들이 말끔하게 해소된다.
가볍게 설명하자면, 특정한 기능을 하는 소스 코드를 따라 빼내어 묶어 놓은 것이다.
소스 코드를 함수 단위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생긴다.
1. 소스코드가 기능별로 깔끔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분석하기 쉬워진다.
2. 같은 코드가 여러 번 필요하게 될 때 그것을 하나의 함수로 만들고, 그 함수를 필요한 수 만큼 호출하면 된다.
3. 만약 기존에 작성한 코드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면, 해당하는 함수만 복사해
사용하면 된다.
4. 각 함수별로 변수가 관리되어 보기에 깔끔해진다. 변수명이 중복되거나 헷갈리게 될 염려가 줄어든다.
<참조 : 해커스쿨 시스템 해킹강좌 ch7. 함수란 무엇일까요?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에서 _t로 끝나는 자료형 (0) | 2016.07.05 |
---|---|
pid_t 구조체에 대해서 (0) | 2016.07.02 |
Linux curl 명령어 (0) | 2016.03.15 |
Visual Basic 파일의 특징 (0) | 2016.01.12 |
Process Explorer - 작업 관리자 (0) | 2015.12.29 |
- Total
- Today
- Yesterday
- 패킷
- 2의 1000승
- arp
- 키보드 메시지 이벤트
- tipsoft
- tipssoft
- 오일러 프로젝트 11번
- 오일러 프로젝트 8번
- 오일러 프로젝트 12번
- 오일러 프로젝트 10본
- 실행 압축
- 약수 500개
- 팁스강좌
- 이미지게임
- tipsr강좌
- 화투이미지맞추기
- Omok
- 오일러 프로젝트 16번
- 비손실 압축
- 오일러 프로젝트 14번
- CBrush
- 허프만 알고리즘
- 서버
- 오일러 프로젝트 13
- Tips
- 헤더
- MFC
- TIPS강좌
- 오일러
- 와이어샤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